1. 실란트란
      각종 접합부(Joint)나 갈라진 틈(Seam)에 대한 수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충진되는 물질을 일반적으로 실링재라       말하며, 이는 어느 정도 강도 및 탄성을 가지고 부재를 고정시켜 건축물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어진다. 이중 특히 탄성실링재를 실란트(Sealant)라고 한다. 충진할 때의 형태에 따라 부정형재료와 가스켓과       같은 정형재료로 나누어지는데 좁은 뜻의 실링재는 부정형재료를 말하며 부정형재료는 실란트와 코킹재로 구분된다.
        (1) 실란트(Sealant) : 신축허용율 ±0% 이상 조인트에 사용되어지는 제품
          --> Silicone, 변성 Silicone, Polysulfide, Polyurethane
        (2) 코킹재(Caulking) : 신축허용율 ±0% 이하 조인트에 사용되어지는 제품
          --> Oil, Butyl, Acryl
    2. 실란트의 역사
      실란트의 역사는 건축외장공법의 발전과 함께 이룩되어 왔다. 1960년대까지는 유성코킹이 주류를 이루며 유리용
      접착제 등으로 창유리를 고정시켜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으나 새로운 실링재의 등장과 지속적인 개량으로 고성능
      실란트인 폴리설파이드계, 폴리우레탄계, 실리콘계, 변성실리콘계 등이 개발되고 1970년대 이후의 건축붐을 계기로       커튼월 공법이 발전되어 빌딩도 고층화 시대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실란트의 수요도 급증하였으며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높아졌다.
    3. 실란트의 필요 요건
      각종 접합부의 수밀, 기밀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실란트는 다음의 3가지 요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1) 부재와 부재를 방수적으로 연속시킬 수 있는 물질을 이루는 기본 성능
          가) 작업성 (Extrudability, Non-Sagging or Self-Levelling)
          나) 경화성 (Tack Free Time, Curing Rate, Hardness)
          다) 부착성 (Cohesion Failure : Good Adhesion), (Adhesion Failure : Bad Adhesion)
        (2) 완전경화된 도막이 접합부의 움직임에도 파열, 박리되지 않는 내 Movement 성능 
          가) 탄성 (내 Movement성) 
        (3) 옥외의 자연 조건하에서 내 Movement성을 유지할 수 있는 내구 성능
          가) 내후성
          나) 내한, 내열성
          다) 내수성
          라) 내약품성
    4. 실란트에 요구되는 성능
      3.항의 3가지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실란트에 요구되는 성능은 다음과 같다.
        (1) 내수성이 우수할 것
        (2) 부재(피착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할 것
        (3) 계절에 관계없이 양호한 접착성과 가사시간(작업가능시간)이 적당하며 확실하게 경화할 것
        (4) 줄눈에 발생하는 움직임에 잘 대응하고 과도한 응력 발생으로 인한 이상 변형이 없을 것
        (5) 장기간에 걸쳐서 강인한 접착력을 발휘하고 실링재 자체가 약화되지 않을 것
    5. 실란트의 분류
       (1) 1 성분형: 실리콘계(습기경화형), 아크릴계(건조경화형)
        (2) 2 성분형: 변성실리콘계, 폴리설파이드계, 폴리우레탄계(반응경화형)
          *1 성분형은 Cartridge 와 같이 경화제와 Base Polymer가 이미 한 개의 용기에 혼합되어 있어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포장된 제품을 말하며, 2 성분형은 경화제와 Base Polymer가 별도의 용기에 포장되어 있어
         사용전 혼합하여 사용하는 제품을 말한다.